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쿠시마현 제1구

덤프버전 :

||




1. 개요[편집]


도쿠시마현도쿠시마시, 코마츠시마시, 아난시, 카츠우라군, 묘도군, 묘자이군, 나카군, 카이후군을 관할하는 선거구. 자민당 7선의 고토다 마사즈미(後藤田正純)가 이 곳의 지역구 국회의원이었다. 내무 관료로서 경찰청 장관을 역임하고 나와 다나카 내각의 내각관방부장관, 나카소네 내각의 관방장관, 미야자와 내각의 법무대신 겸 부총리를 지낸 거물 고토다 마사하루의 조카이다. 또한 과거 센고쿠 요시토 전 관방장관의 선거구이기도 하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니키 히로부미.

친 자민당 성향이 강한[1] 시코쿠의 다른 선거구와는 달리,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까지 단 한번도 자민당 소속 후보가 이긴적이 없는 민주당의 초강세 지역이었다. 그러나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현직 의원인 센고쿠 요시토가 후쿠야마 마모루에게 석패 부활도 받지 못한채로 낙선해 큰 화제가 되었다. 그는 이후 정계를 은퇴했다.[2]

도쿠시마의 인구 감소로 중의원 선거구가 하나 줄어든 47회 총선부터는 도쿠시마 1구는 과거 3구의 지역이 상당히 유입된 선거구로 바뀌었고 3구의 고토다 의원이 지역구를 먹고 본래 1구 의원인 후쿠야마 의원은 비례 시코쿠 블럭으로 전출되었다.

그러나 46,47,48대 총선 모두 자민당 : 야권 후보가 52~53 : 47~48 정도의 비율을 보이고 있어, 완전히 자민당의 텃밭이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3번의 선거 모두 일본 공산당의 혁신 진영 표 가르기로 민주당 후보가 석패 부활을 받지 못했는데, 입헌민주당이 일본 공산당과 선거 연대를 맺은 현 상황에서 이 선거구에 야권이 후보를 낸다면 소선거구에서 당선되거나, 적어도 석패율 비례로 당선될 가능성이 높은 선거구다.

그러나 입헌과 공산 모두 지역 야권 내에서는 압도적인 인지도를 가진 무소속 니키 히로부미 前 의원을 지원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후보를 내지 않고 접촉중에 있는 상황이기에, 49회 총선에서는 니키 의원이 야권의 무소속 통일후보로 출마하고 야당에서는 후보를 내지 않을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높다. 그리고 야권 통일 후보로 출마한 니키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러나 고토다 다사즈미 의원이 사퇴하고 도쿠시마현지사에 당선되자, 니키 히로부미 의원이 자민당에 입당해버림에 따라 야권에서는 이 곳을 탈환하자마자 다시 새 후보를 구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2. 역대 국회의원[편집]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묘도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센고쿠 요시토47,057표1위


37.7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미키 토시지41,133표2위
자유민주당

32.98%낙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오타 히로미23,684표3위


18.9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미무라 히데아키11,092표4위


8.89%낙선
가네마루 마사히로1,739표5위

무소속

1.39%낙선
유효표 수187,209표투표율
선거인 수

3.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묘도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센고쿠 요시토60,945표1위


47.3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모토 요시로41,628표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32.3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미무라 히데아키14,164표4위


11.00%낙선
오타 히로미12,068표5위

무소속

9.37%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3.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묘도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센고쿠 요시토60,917표1위


52.9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치죠 아키라44,892표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39.0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모토 치요코9,164표3위


7.97%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3.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묘도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센고쿠 요시토68,026표1위


51.2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모토 요시로54,843표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41.35%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미무라 히데아키9,769표3위


7.37%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3.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묘도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센고쿠 요시토76,764표1위


56.2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오카모토 요시로39,780표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29.14%낙선
오카 유키10,275표3위

무소속

7.5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루타 모토노리8,313표4위
6.09%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곤도 아키라1,395표5위
1.02%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3.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묘도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쿠야마 마모루59,231표1위
53.19%당선[3]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센고쿠 요시토39,402표2위
35.58%낙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루타 모토노리12,724표3위
11.43%낙선
유효표 수151,476표투표율
-%
선거인 수-인

3.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코마츠시마시, 아난시, 카츠우라군, 묘도군, 묘자이군, 나카군, 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토다 마사즈미92,166표1위
52.03%당선[5]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니키 히로부미69,188표2위
39.0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루타 모토노리15,776표3위
8.91%낙선
유효표 수151,476표투표율
-%
선거인 수-인

3.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코마츠시마시, 아난시, 카츠우라군, 묘도군, 묘자이군, 나카군, 아마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고토다 마사즈미
(後藤田正純)
자유민주당90,281
(51.5%)
1위당선공명당 지지
니키 히로부미
(仁木博文)
희망의 당69,442
(39.6%)
2위낙선
야마모토 치요코
(山本千代子)
일본 공산당15,622
(8.9%)
3위낙선
선거인 수372,695투표율 47.98%


3.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쿠시마현 제1구
도쿠시마시, 코마츠시마시, 아난시,
카츠우라군, 묘도군, 묘자이군, 나카군, 아마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니키 히로부미
(仁木博文)
99,4741위
50.0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토다 마사즈미
(後藤田正純)
77,3982위
38.94%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요시타 도모요
(吉田知代)
20,0653위
10.10%비례당선
사토 유키토시
(佐藤行俊)
1,8084위
0.91%낙선
총 선거인수362,130투표율
55.93%
유효표198,745

49회 중원선 도쿠시마현 제1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격차투표율
후보니키 히로부미고토다 마사즈미요시타 도모요(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9,474
(50.05%)
77,398
(38.94%)
20,065
(10.10%)
22,706
(11.11%)
198,745
(55.93%)
도쿠시마시47.16%39.72%12.04%△ 7.4452.41
코마츠시마시51.64%38.89%8.75%△13.7557.74
아난시59.26%32.92%7.12%△26.3460.55
카츠우라초54.17%38.83%6.75%△15.3464.60
카미카츠초[6]45.99%47.39%6.18%▼1.4070.20
사나고우치손52.27%40.73%6.55%△11.5469.16
이시이초42.76%47.90%8.36%▼5.1459.20
카미야마초[7]46.97%47.46% 4.91%▼0.4963.35
나카초59.06%34.00%6.63%△25.0664.23
무기초51.12%38.59%9.23%△12.5366.93
미나미초50.07%40.77%8.36%△9.3065.61
카이요초50.27%39.61%9.62%△10.6664.75

비례대표 결과[8]
정당
득표수
(득표율)
7,543.949
(3.90%)
14,237
(7.35%)
68,549
(35.41%)
7,187
(3.71%)
36,140
(18.67%)
2,285
(1.18%)
27,420.04
(14.16%)
26,955
(13.92%)
1,065
(1.06%)
시 지역
도쿠시마시4.09%8.11%34.24%3.86%20.02%1.07%13.89%13.08%1.65%
코마츠시마시3.72%7.42%35.18%3.42%18.61%1.38%13.79%15.00%1.48%
아난시3.88%6.67%36.24%3.72%17.88%1.21%14.65%13.95%1.79%
정 지역
카츠우라초3.50%7.30%42.90%2.60%13.80%1.22%14.22%13.67%0.80%
카미카츠초2.03%4.53%38.85%4.19%11.48%1.88%14.75%21.30%0.99%
이시이초3.76%5.13%39.98%3.33%16.87%1.18%15.55%12.70%1.49%
카미야마초3.40%3.09%43.75%5.09%13.68%1.24%13.70%15.41%1.02%
나카초2.63%7.04%37.08%3.10%13.55%1.35%15.26%19.14%0.85%
무기초3.54%6.98%34.29%3.54%14.86%1.66%13.61%20.37%1.16%
미나미초3.43%5.34%39.80%2.63%16.20%1.93%14.70%14.35%1.19%
카이요초3.14%5.79%45.69%3.21%15.13%2.58%12.96%12.65%1.02%
촌 지역
사나고우치손3.29%7.11%35.26%3.44%13.91%1.42%16.16%22.04%0.80%

자유민주당의 고토다 마사즈미 후보, 무소속 야권 단일후보 니키 히로부미[9], 일본 유신회의 요시다 토모요 후보, 무소속 사토 유키토시 후보가 출마했다.

그런데 자유민주당의 고토다 마사즈미 후보에게 대형 악재가 생겼는데, 자민당 도쿠시마현련이 자당 소속 후보인 고토다 후보를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고토다는 도쿠시마현지사 선거 당시 자민당 현련이 미는 후보가 아닌 다른 후보를 독자지원한 바가 있다. 현련은 중앙당에 고토다 후보의 공천을 요청하지도 않았으며, 내부 회의에서도 만장일치로 자주투표를 하기로 결정하여 사실상 고토다 후보를 버렸다. 고토다 후보는 어쨌든 공천 자체는 받는데 성공했지만 지역구 당조직이 등을 돌려버린 대형 악재가 생겨버렸다.

그에 반해 니키 히로부미 후보는 야권단일 효과를 얻어내는데 성공하며 요미우리, 닛케이, 마이니치 등 주요 언론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차지하였다.

선거 결과 무소속 니키 히로부미 후보가 3수 끝에 자민당 고토다 마사즈미 후보를 약 11% 차이로 꺾으며 무려 9년 만에 원내 복귀에 성공과 더불어 처음으로 고토다 후보는 패배를 맛본다.[10]. 더불어서, 자민당에게 빼앗긴 센고쿠 요시토의 지역기반을 센고쿠의 후계자가 9년만에 되찾는데 성공했다. 자민당의 고토다 후보와 일본유신회의 요시타 후보는 석패율제로 구제되어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자민당 고토다 의원은 이후 2023년 도쿠시마현지사 선거 출마를 위해 비례대표 의원직에서 사직하였으며, 이번에도 자민당의 추천을 받지 못했지만 도쿠시마현지사에 당선되었다.

3.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그간 야권 후보로 출마해 온 무소속 니키 히로부미 의원이 자유민주당에 입당해 새 지부장 공모에 참가하였고, 지부장으로 선임되었다. 간만에 지역구를 수복한 야권에서는 다시 새 후보를 구할 필요가 생긴 상황이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저번 선거에 석패율 당선된 요시다 도모요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공산당에서는 구보 다카유키 후보가 공천받았다. 저번 선거에서는 2구에 출마했었으나 이번에는 이 곳에 출마한다.



[1] 시구정촌 의회 단위의 선거로 갈 시, 자민당 외에는 후보가 단 한명도 나오지 않아 무투표로 당선되는 자민당 소속 정치인들만 수두룩할 지경이다.[2] 오죽했으면 일간지에서 '민주왕국' 선거구의 몰락의 대표적인 예로 거론되기까지 했을 정도였다. 거기다가 센고쿠 요시토 의원은 관방장관과 특명대신, 법무대신을 역임하고 7선을 노리던 중진 의원이었기에 그 충격이 더 컸다. 한국으로 치면 박영선이나 추미애 정도 되는 중진 정치인이 텃밭에서 신인에게 밀려 낙선한것이나 마찬가지.[3] 추천[4] 추천[5] 추천[6] 단 13표 차였다.[7] 단 14표 차였다.[8] 비례대표 결과 이곳에서 확인 가능[9] 입헌민주당, 국민민주당의 추천을 받았고 공산당도 후보를 내지 않으며 사실상 니키 후보를 추천했다.[10] 민주당 바람이 불던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고토다 후보는 승리하였으며, 니키 후보는 시코쿠 블록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